Jung의 분석 심리학이론
분석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크게 의식,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으로 구성됩니다.
1.의식: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 개인의 생각, 감정, 기억 등을 포함합니다.
2.개인무의식: 개인무의식은 의식에 들어오지 못하는 부분으로, 억압 되었던 개인의 경험과 기억, 감정, 생각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3 집단무의식: 인간의 무의식의 심층에 존재하는 개인의 경험을 넘은 선천적 구조 영역입니다. 인류의 공통된 경험과 기억, 감정, 생각 등 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집단무의식은 창조적 자율성으로 의식에게 여러가지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의식이 무의식과 협조적일 때 즉 의식이 무의식의 의도를 인식할 때 치유적인 특성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4. 상징: 상징은 개인의 내면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5.개성화: 개성화(individuation)는 분석심리학의 중심개념으로, 인간이 자신의 내면에서 무의식적인 내용을 의식적으로 통합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융은 인간은 본질적으로 전체성을 지닌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무의식적인 내용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이 무의식적인 내용을 의식적으로 통합해가는 과정을 거쳐야만 전체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개성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자아의 발달
개성화의 첫 번째 단계는 자아의 발달입니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개인의 정체성과 통합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아가 발달해야만 무의식적인 내용을 의식적으로 통합해갈 수 있습니다.
• 무의식의 통합
개성화의 두 번째 단계는 무의식의 통합입니다. 무의식에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 감정, 생각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무의식적인 내용을 의식적으로 통합함으로써, 개인은 자신의 내면을 더 잘 이해하고, 보다 완전한 존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자기의 실현
개성화의 마지막 단계는 자기의 실현입니다.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을 통해 형성된 인간의 전체성을 의미합니다. 자기가 실현되면, 개인은 자신의 본질을 완전히 이해하고, 보다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개성화는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개성화의 과정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면을 더 잘 이해하고, 보다 완전한 존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Jung은 인간의 무의식은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무의식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모래놀이를 제시했습니다.
모래놀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의 무의식의 내용을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습니다.
Lowenfeld의 세계기법
Lowenfeld의 세계기법은 모래상자에 다양한 모래놀이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놀이치료 방법입니다. Lowenfeld는 모래상자를 "마음의 거울"이라고 칭하며, 모래놀이를 통해 내담자의 내면을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Lowenfeld는 모래놀이 도구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첫 번째는 현실 세계를 상징하는 도구, 두 번째는 내면 세계를 상징하는 도구, 세 번째는 치료자의 개입을 위한 도구입니다.
현실 세계를 상징하는 도구는 집, 자동차, 동물, 식물 등과 같은 실제 세계의 물건을 나타냅니다. 내면 세계를 상징하는 도구는 꿈, 환상, 상상과 같은 내면의 세계를 나타냅니다. 치료자의 개입을 위한 도구는 상담가가 내담자의 모래상자그림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